반응형
▣ 정상류
레이놀즈수 1000 미만의 유동을 말한다. 균일하고 매끄러운 흐름 특성을 보인다.
정상류는 균일하고 매끄러운 흐름을 가진다. 균일한 특성은 각 점에서의 유체의
속도가 시간에 무관하게 일정하게 나타난다. 매끄럽다는 것은 유선이 연속적이며
서로 교차하지 않는 것을 의미한다.
(예를 들면 사람의 뇌에서 혈류의 레이놀즈수는 100 정도로 정상류로 볼수있다.
▣ 레이놀즈수
영국의 유체역학자 레이놀즈가 발견하였다. 유체의 점성률을 점성계수를 ,밀도를,
유속을, 물체의 모양을 정하는 길이, 즉 구나 원관이면 반지름, 육면체면 변의 길이를
이라 할 때,으로 정의되며 또는 로 구해지는 무차원수를 말한다. 흐름을 연구하는 데
중요한 것으로 이 값이 작을 때는 흐름이 규칙적인 층류가 되지만, 어떤 값 이상이 되면
난류가 된다. 일반적으로 이와 같은 난류와 층류의 경계가 되는 R의 값을
임계레이놀즈수라 한다. 그 값은 원 관내의 물의 흐름에서 약 2,300이다.
경계의 모양이 닮은 두 물체를 서로 다른 흐름 속에 놓았을 때 각각 레이놀즈수가 같다면,
길이와 시간의 단위를 적당히 잡으면 두 흐름의 상태는 완전히 일치한다.
반응형
LIST
'이론' 카테고리의 다른 글
공업경영 시스템 (0) | 2020.11.25 |
---|---|
냉각 장치(Cooling system)구조 (0) | 2020.11.21 |
지식경영의 개념 (0) | 2020.11.18 |
캐비테이션의 발생원인 (0) | 2020.11.16 |
피토관[Pitot tube] 이란? (0) | 2020.11.13 |
댓글