반응형
▣ 숏 피닝 이란
▶ 경화된 철의 작은 볼을 공작물의 표면에 분사하여 그 표면을
매끈하게 하는 동시에 공작물의 피로 강도나 기계적 성질을
향상시키는 방법을 말한다.
▶ 숏피닝은 냉간가공의 일종으로 작은 쇠구슬을 고속으로 재료
표면에 충돌시켜 그림과 같이 재료 표면에 미세한 곰보 자국을
균일하게 형성하는 가공 공정이다
▣ 숏과 피닝의 특징
▶ 충돌시 재료는 인장소성이 발생하나 복원시 압축응력이 형성되어
재료의 피로강도를 높이는데 사용된다.
▶ 숏피닝의 조건(속도, 강구재질, 크기)에 따라 압축응력의 정도를
조절 가능하며 최대 재료의 항복강도의 반정도까지 압축응력을
형성시킬수 있으며 연성재료의 경우 가공경화 효과를 얻을 수 있다.
▶ 숏은 칠드주철숏, 가단주철숏, 주철숏, 컷와이어숏 이외에 많이 사용되지는
않지만 동 유리 소구가 있다.
▶ 크랭트 사프트(Crank Shaft), Chain, Spring등 기존 제품의 치수나 재질 변경
없이 높은 피로강도가 필요할 경우 적용된다.
▣ 숏과 피닝의 장/단점
▶ 숏 피닝에서 분사 속도는 높을수록 효과는 좋으나 한계가 있다.
▶ 공기압은 4kg/㎠ 이상이면 도리어 재료의 표면이 파괴된다.
▶ 분사각은 90°일 때 가공층의 두께가 가장 두꺼워진다.
▶ 분사 면적은 동시에 가공되는 공작물의 면적을 표시하는 것으로 가공 속도에 영향을 미친다.
반응형
LIST
'이론' 카테고리의 다른 글
열역학 기본 용어정리 (0) | 2020.12.13 |
---|---|
자동차 가속 시스템(accelerate system) 이란? (0) | 2020.12.11 |
래핑에 있어서 랩의 하는 역할 (0) | 2020.11.29 |
유압시스템의 구성요소 (0) | 2020.11.26 |
공업경영 시스템 (0) | 2020.11.25 |
댓글